캐나다 기업 개발 ‘카보라이트 X7’
수직이착륙하면서 고속 비행도 가능

캐나다 항공우주기업 호라이즌 에어크래프트가 개발한 수직이착륙기. 날개 내부에 환풍기 모양의 바람개비가 다수 장착돼 있다. 호라이즌 에어크래프트 제공

환자 수송용으로 활용되는 ‘카보라이트 X7’ 상상도. 호라이즌 에어크래프트 제공
날개에 내장된 환풍기 모양의 바람개비 여러 개를 세차게 돌려 뜨고 내릴 수 있는 신개념 항공기가 등장했다. 일단 공중에 뜨면 동체 후방에 달린 대형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앞으로 나아가는 힘을 만든다. 짧은 이착륙 거리와 높은 비행 속도를 모두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캐나다 항공기업 호라이즌 에어크래프트는 이달 중순 ‘카보라이트 X7’이라는 시제기를 개발해 비행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카보라이트 X7 동체 길이는 11.6m, 날개 길이는 15m다. 총 중량은 2.5t이다. 겉모습은 여느 고정익 비행기, 즉 보통의 경비행기와 비슷하다. 공중에서 바라봤을 때 길쭉한 동체에 90도 각도로 일자형 날개가 부착돼 있다.
그런데 카보라이트 X7이 이륙하는 모습을 보면 단박에 이 비행기가 일반 경비행기와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활주로를 달리는 대신 땅에서 공중 부양을 하듯 하늘로 수직 이륙한다. 비결은 간단하다. 날개 속에 박힌 환풍기 형태의 바람개비 14개가 일제히 땅을 바라보며 회전해 비행기 동체를 위로 들어올리기 때문이다.
고도 수십m까지 올라간 카보라이트 X7은 동체 후방에 달린 대형 프로펠러를 돌린다. 이러면 이번에는 하늘 방향이 아니라 앞으로 나아가는 힘이 카보라이트 X7에 생긴다. 프로펠러가 충분히 빠르게 돌면 날개 속에 들어간 바람개비 움직임은 멈춘다. 이때부터 카보라이트 X7은 다른 고정익 비행기처럼 하늘을 난다. 착륙할 때에는 다시 날개 속 바람개비를 돌려 수직으로 내려온다.
이런 ‘이상한 비행기’는 왜 만들었을까. 활주로가 없어도 뜨고 내릴 수 있는 헬기의 장점과 빠른 비행이 가능한 고정익 비행기의 장점을 섞기 위한 목적이다.
실제로 카보라이트 X7은 건물 옥상이나 작은 공터에서 뜨고 내릴 수 있으면서도 최고 시속은 400㎞에 이른다. 미군 헬기 UH-60 블랙호크(시속 약 300㎞)보다 약 30% 빠르다. 지형이 험한 곳에서 이착륙해 신속히 이동해야 하는 응급 구조 임무 등에 쓰기 적합하다.
동력 체계는 이원화돼 있다. 수직이착륙을 위한 바람개비는 전기 배터리, 순항을 위한 프로펠러는 가스터빈 엔진으로 돌린다. 항속거리는 800㎞이며 6명이 탈 수 있다.
호라이즌 에어크래프트는 공식 자료를 통해 “카보라이트 X7은 지역 항공 모빌리티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경향 이정호 기자 >
'● 경제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기준금리 4.25~4.50%로 동결…한미금리 차 1.75%포인트 (0) | 2025.03.20 |
---|---|
금값 3040달러 근접…가자 공습에 또 상승 (0) | 2025.03.19 |
1.55도 오른 지구 온도, 175년 만에 가장 뜨거웠다 (0) | 2025.03.19 |
9개월 ‘지각 귀환’, 지구 4576바퀴 돌고 온 미 우주비행사들 (0) | 2025.03.19 |
지구에선 개기월식, 달에선 개기일식 (0) | 2025.03.15 |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0) | 2025.02.09 |
“대왕고래 아닌 대왕구라였다”… 국정 브리핑 1호의 몰락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