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7.1포인트로 전년 같은 달보다 40%나 올라
“5월 하순부터 상승세 둔화… 가격 상승 제한적”
OECD “병목현상으로 가격 상승… 연말 정상화”

 

 

5월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40% 가까이 오르면서 상승세를 이어가 인플레이션 우려를 더하고 있다. 전년 동월 대비 기준으로는 2011년 6월(40.9%) 이후 10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세다. 여기에 원유값과 운임 등도 계속해서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4일 농림축산식품부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지난달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7.1포인트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달(91.0)에 비하면 39.7%가, 전달(121.3)에 비하면 4.8% 오른 수치다.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유엔이 24개 품목의 국제가격동향을 조사해 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 등 5개 품목군별로 매월 작성·발표하는 수치다. 2014~2016년 평균치가 기준치(100포인트)다.

 

곡물을 비롯해 유지류, 설탕 등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곡류는 133.1포인트로 전년 같은 달에 비해 36.5% 올랐다. 유지류와 설탕은 각각 174.7포인트, 106.7포인트로 전년 같은 달에 비해 124.6%, 57.5% 올랐다. 육류와 유제품도 각각 105.0포인트, 120.8포인트로 지난해 5월보다 10%, 28.0% 상승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이날 유엔 식량농업기구 압돌레자 압바시안 수석 경제학자가 “사람들이 다시 식당에 가기 시작하면 가격이 올랐다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촉발된 인플레이션이 가속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고,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네슬레와 코카콜라 등 대형 식품업체들은 이미 가격을 올리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원유와 운임의 가격 상승도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고 있다. 서부텍사스산 원유(WTI)가 지난해 10월30일 배럴당 35.79달러로 최저를 기록한 이후 줄곧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지난 2일에는 68.83달러로 2018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운임 역시 컨테이너 부족과 항만 적체 등의 영향으로 해운 운임은 물론 항공 운임까지 상승세를 보인다.

 

컨테이너선 운임 지수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이날 3613.07을 기록해 2009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철광석과 석탄 등을 싣는 건화물선운임지수(BDI)도 1분기 평균 1739포인트로, 지난해 같은 기간(592포인트)에 비해 194% 올랐다. 여기에 목재나 동과 같은 원자재도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가격 상승 추이가 단기적인 현상으로, 오랜 기간 지속하지는 않을 것이란 예상이 많다. 국승용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장은 “애초 식량 가격이 6월이면 하락세로 반전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면서도 “5월 하순부터는 상승세가 둔화하고 있고, 기저효과로 높아진 측면도 있어 인플레이션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제 곡물 가격은 3개월여의 시차를 두고 국내 가격에 영향을 주는데 제품에서 차지하는 원재료비가 크지 않아 가격 상승 압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최근 소비자 물가 상승에 대해 “지난해 5월 코로나 충격으로 국제유가·석유류 가격이 급락해 물가상승률이 연중 최저치인 마이너스(-) 0.3%를 기록한 데 따른 반사 효과”라며 “기저효과를 제외한 전월 대비 물가 상승률은 0.1%로 최근 안정세에 접어든 모습”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 로렌스 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석 경제학자는 최근 발표한 ‘오이시디 경제전망’에서 “최근 상품 가격이 빠르게 오르고 있고, 일부 부문의 병목현상과 무역 차질로 가격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다”면서도 “연말 생산 능력이 정상화되고 소비가 균형점을 찾아가면서 이런 혼란은 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목재에서 반도체에 이르기까지 공급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며 “중앙은행이 늦게 대응할 경우 인플레이션 기대를 키울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농식품부는 국제 식량 가격 상승에 대해 “국제 곡물 시장 중요 변수인 중국 곡물 수급 및 미국, 남미 등 주산지 작황 상황 등에 대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며 “향후 추가 상승 등에 대해 추가 대책도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