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꽃’ A조사 민주 45.2% 국힘 37.8%로 격차 7.4%p
B조사에서는 민주 47.0%, 국힘 36.5%로 더 벌어져 10.5%p
전광훈 윤석열 등의 발언에 공감 20~25% 고르게 나타나
‘여론조사꽃’이 2025년 1월 23~25일 사흘간 전국 남녀 18세 이상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당 지지도 전화면접조사(표본오차 ±3.1%p, 95% 신뢰수준, 기타 자세한 사항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은 지난 조사(43.2%) 대비 2.0%p 오른 45.2%를 기록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0.3%p 떨어진 37.8%를 기록하며, 양당 간 격차는 7.4%p로 나타났다.
지난주 조사에서 ‘국민의힘’은 그 전주 보다 무려 4.9%p 상승한 38.1%로 나타났었다. 지난주 조사에서는 응답자 정치성향 분포가 보수 290명, 중도 488명, 진보 229명으로 보수가 진보 보다 57명(5.7%p) 많았는데 이번 주 조사에서도 보수 308명, 중도 350명, 진보 266명으로 보수가 42명(4.2%p) 더 많다.
보수 과표집 여전, 민주+조국혁신당(51.9%)과는 15.4%p 차이
이 조사는 ‘여론조사꽃’이 오로지 정당 지지도만 묻는 조사(A조사)의 결과다. 다른 시국 현안을 물으면서 진행한 정당 지지도 조사(B조사)에서는 양당 간 차이가 더 벌어졌다.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은 47.0%, ‘국민의힘’은 36.5%로 집계되었으며, 양당 간 격차는 10.5%p로 오차범위 밖의 격차로 나타났다. 또한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의 합산 지지율은 51.9%로 ‘국민의힘’ 지지율(36.5%)과 15.4%p 차이를 보였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더불어민주당’은 전통적 강세 지역인 호남권에서 75.3%의 압도적인 지지율을 기록했다. 이어, 충청권(51.3%)과 경인권(48.7%)에서도 ‘더불어민주당’이 앞서거나 우세했다. 서울과 부·울·경에서는 양 당의 지지율이 팽팽한 접전을 보였다. 대구·경북에서는 ‘국민의힘’이 우위를 점했다(‘국민의힘’ 대구·경북 지지율: 49.2%).
연령대별로 보면 30대 이하는 ‘더불어민주당’이 앞서고 40·50대는 우세한 반면,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이 앞서거나 우세했다. 성별로는 ‘더불어민주당’이 남녀 모두에서 앞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대 by 성별로 살펴보면, 30대 이하의 남성은 ‘국민의힘’이 앞서거나 우세한 반면, 같은 연령대의 여성은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수치를 살펴보면, 18~29세 남성의 경우 ‘더불어민주당’ 32.9%, ‘국민의힘’ 39.9%로 양당 지지율이 팽팽했고, 18~29세 여성의 경우 ‘더불어민주당’ 51.4%, ‘국민의힘’ 14.1%로 ‘더불어민주당’이 압도적으로 우세를 보였다. 30대 남성은 ‘더불어민주당’ 33.6%, ‘국민의힘’ 51.3%, 30대 여성은 ‘더불어민주당’ 56.0%, ‘국민의힘’ 21.3%로 조사되었다. 중도층은 ‘더불어민주당’(50.1%)이 ‘국민의힘’(31.1%)을 19.0%p의 차이로 앞섰고, ‘조국혁신당’은 중도층에서 6.2% 지지율을 기록했다.
서부지법 폭동 ‘처벌 말아야’ 26.9%. 보수층은 61.5%나
서부지법 폭동 사건 가담자에 대한 처벌 여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8.1%가 ‘불법행위로 처벌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저항권 행사로 처벌 대상이 아니다’란 응답은 26.9%였다.
모든 지역, 60대 이하 모든 연령대, 남녀 모두에서 ‘불법행위로 처벌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고 특히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60% 이상의 응답자가 ‘처벌에 찬성’했다. 찬성 비율이 가장 낮은 권역인 대구·경북도 ‘처벌 찬성’ 비율이 56.7%로 과반을 넘었다. 성별로는 남녀 모두 ‘처벌 찬성’ 의견이 압도적이었으나, 30대 이하 남성의 ‘처벌 찬성’ 응답률은 60%로 낮아, 40~50대 남성의 80% 수준과 차이를 보였다. 같은 연령대 여성의 응답과도 온도차를 보였다. 연령대별로는 40대에서 ‘처벌 찬성’ 응답이 84.6%로 가장 높았으며, 50대(76.3%)가 그 뒤를 이었다. 다만 70세 이상에서는 찬반 응답이 팽팽하게 나타났다.
정당 지지층 간 응답 차이는 두드러졌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6.5%가 ‘처벌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응답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 66.9%는 ‘국민 저항권 행사로 처벌 대상이 아니다’라고 응답했다. 무당층은 ‘처벌해야 한다’ 74.7% 대 ‘처벌 대상이 아니다’ 10.4%로 응답해 처벌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격차 64.3%p).
이념성향별로 보면 진보층의 93.5%는 ‘처벌이 필요’하다고 압도적인 찬성 의견을 나타냈다. 반면, 보수층의 65.1%는 ‘처벌 대상이 아니다’라고 응답해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중도층은 ‘처벌해야 한다’ 76.1%, ‘처벌대상이 아니다’ 18.8%로 집계돼 57.3%p의 압도적인 격차로 서부지법 폭동 사건 가담자는 ‘불법 행위로 처벌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구치소에서 데려오자” 전광훈 발언 공감도 24.3%
전광훈이 ‘국민저항권이 시작됐기 때문에 윤 대통령도 구치소에서 우리가 데리고 나올 수 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71.8%는 ‘공감하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공감한다’는 응답은 24.3%에 그쳤다. 특히 40·50대의 경우 10명 중 8명 이상이 ‘공감하지 않는다’고 강력한 반대 의사를 밝힌 반면 70세 이상에서는 ‘공감한다’는 응답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을 13.5%p 앞섰다(70세 이상: 공감 56.4%, 비공감 42.9%).
정당 지지층 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98.5%가 ‘공감하지 않는다’고 강한 반대 입장을 보인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62.4%는 전광훈 목사 주장에 ‘공감한다’고 응답해 찬성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다. 무당층은 86.2%가 ‘공감하지 않는다’고 압도적으로 응답해 전광훈 목사의 주장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념성향별로 진보층의 96.5%, 중도층의 79.5%가 ‘공감하지 않는다’고 응답해 강한 반대 의사를 밝혔다. 반면, 보수층의 58.5%는 ‘공감한다’고 답해 상반된 태도를 보였다.
“국회의원 끌어내라 지시한 적 없다” 윤석열 믿는 23.8%
윤석열이 헌재 탄핵 심판에 출석해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고 지시했냐’는 질의에 ‘지시한 적이 없다’고 답한 데 대해서는 70.7%가 ‘사실이 아닐 것이다’라고 답했으며, ‘사실일 것이다’는 응답은 23.8%에 그쳤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7.0%가 압도적으로 윤석열의 답변을 믿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민의힘 지지층 54.5%는 윤석열의 답변을 ‘사실일 것’이라고 답하며 상대적으로 신뢰하는 응답을 보였다. 무당층의 경우 ‘사실일 것’ 21.8% 대 ‘사실이 아닐 것’ 66.0%로, 44.2%p의 격차로 윤석열의 답변을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층의 92.9%, 중도층의 73.0%는 ‘사실이 아닐 것’이라고 압도적으로 응답한 반면, 보수층은 양 응답이 팽팽해 보수층 내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이 ‘비상입법기구 관련 예산을 편성하라는 쪽지를 기재부 장관에게 준 적이 있냐’는 질의에 대해서 ‘지시한 적이 없다’고 답변한 것에 대해서도 윤석열의 답변이 ‘사실일 것이다’라는 응답은 25.8%, ‘사실이 아닐 것이다’는 응답은 66.9%로 집계되었다. 모든 지역, 모든 연령대, 남녀 모두에서 윤석열의 답변이 ‘사실이 아닐 것’이라는 응답이 우세한 것은 특정 집단에 국한되지 않고, 전반적인 국민 정서가 윤석열의 발언에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국민의힘 지지층의 57.3%, 보수층의 50.0%가 ‘사실일 것’이라고 응답해 대조를 보였다. 무당층에서도 ‘사실이 아닐 것’이라는 응답이 59.5%였으며, ‘사실일 것’은 24.5%에 그쳤다.
모든 현안에서 65~70%와 20~25%로 갈라지는 여론 분포
윤석열이 ‘계엄 포고령의 국회의 정치활동 금지조항’과 관련해 “김용현 전 국방장관이 과거 포고령을 베낀 것이며, 자신은 그 내용을 부주의로 그냥 넘어갔다”는 취지로 답변한 것에 대해 윤석열의 답변이 ‘사실일 것이다’라는 응답은 25.8%, ‘사실이 아닐 것이다’는 응답은 66.6%로 집계되어 정확히 응답자 2/3가 윤석열의 해명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정당 지지층간 응답 차이는 명확한 대립구도를 보였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5.8%가 ‘사실이 아닐 것’이라고 응답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58.9%가 ‘사실일 것’이라고 응답하며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무당층에서도 ‘사실이 아닐 것’이라는 응답이 61.0%로 높았고 ‘사실일 것’이라는 응답은 22.8%에 그쳤다.
이념 성향 별로는 진보층의 91.9%가 ‘사실이 아닐 것’이라고 압도적으로 답변했고, 중도층 역시 ‘사실일 것’ 24.6% 대 ‘사실이 아닐 것’ 69.0%로 44.4%p의 큰 격차를 보이며 윤석열의 해명을 불신했다. 반면, 보수층에서는 49.7%가 ‘사실일 것’이라고 응답해 긍정적인 의견이 더 많았으나 ‘사실이 아닐 것’이라는 응답도 37.6%에 달해 보수층 내에서도 신뢰가 절대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격차 12.1%). < 민들레 강기석 기자 >
'● C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내란] 윤상현 · 김민전 · 나경원 망언 모음.zip…이 참에 몰아보기 (0) | 2025.01.28 |
---|---|
'진실 비틀기'... 조선일보의 홍장원 '흠집내기', 속 보인다 (0) | 2025.01.28 |
민변 “부정선거 음모론 허위보도 횡행...즉각 멈춰야” (0) | 2025.01.28 |
윤석열 내란 쇼크에 원화 실질가치 엉망…64개국 중 63번째 (0) | 2025.01.27 |
“새해 벌 많이 받으세요”…국힘 외면하는 설 민심 (0) | 2025.01.27 |
윤석열 내란정국, 국힘 지지율 상승...정말 판이 바뀌었나?? (0) | 2025.01.27 |
[윤석열 내란] "법이 짓밟힌다"면서 더 짓밟는 조선일보 (0) | 2025.01.25 |